Archive | 독서 RSS feed for this section

기획자로써의 방향성

2 Jan

지난 세달 동안 여러가지 일을 해왔지만 전체적인 맥락을 잡자면 기획자로서 스스로의 방향성을 잡는 시간이였다. 3개월 만에 결론을 내리기엔 너무 이르지만(평생동안 탐구해고 고민해야할 문제이기도하고…) 초석을 잡고 스스로 방향성을 가지고자 지난 시간동안 얻은 인사이트를 정리하고자 한다.

보통 기획자, product manager으로 지칭되는 비즈니스 모델을 창조,발굴, 설계, 구현하는 역할을 하는 사람이 내가 생각하는 기획자의 범주에 든다.

보통 기획자는 시장의 니즈를 파악해서 적절한 서비스 혹은 제품을 내놓는 업무로 표현이 되는데, 좀 더 세분화 해서 개념을 확실히 하고자 한다. 그래서 3가지 업무로 분류해 보았는데 다음과 같다.

1. 지금까지 발견되지 않은 니즈를 발견하고 다음세상을 여는 비지니스 창조자
2. 비즈니스 모델을 설계하는 비지니스 설계자
3. 실제 제품을 구현하는 product manager(제품 설계, 생산 메니지먼트)

3가지 업무의 구분이 명확하지 않을 때도 있지만 기획자는 3가지 업무가 어떤 차이가 있는지 명확하게 인식하고 있어야 한다. 각 업무가 무엇인지 정리해보고 어떤 역량이 필요한지 정리 해보고자 한다.

1.  비지니스 창조자

비지니스 창조자로서의 기획자의 시선은 소비자와 사회에 맞춰져 있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비지니스 창조자는 아직 아무도 발견하지 못한 숨겨진 니즈를 발견하는데 중점을 두어야 한다.

시선을 소비자으로 두자면 ‘기술적 발전이 뒤쳐진 산업분야’, ‘문제가 있으나 아무도 해결하지 않은 것’, ‘수요과 공급 불균형’을 찾아 냄으로써 새로운 비즈니스를 찾아 낼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항목들은 사회에 이미 존재 하나 정리 되지 않은 상태로 나타나기 때문에 (일상생활 속에서 경험, 대화나 간접 경험에서 미세한 암시로) 끈질긴 관찰을 통해 기획자 스스로 인사이트를 뽑아내야 한다.

시선을 사회로 두자면 ‘사회 변혁’, ‘새로운 패러다임’에서 비즈니스 기회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사회 변혁, 새로운 패러다임은 아직 시장에 포함 되지 않은 시장 외부의 소비자 니즈가 표현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니즈 자체가 구체적이지 않기 때문에 비즈니스화 시키기 매우 어려운 점이 있으나, 사회의 방향을 내포하기 있기에 세상을 뒤집을 비즈니스는 여기서 온다고 생각한다.(사회 변혁, 새로운 패러다임 이라는 말은 내 생각을 표현하기에 부정확한 단어라고 생각이 든다. 차후 탐구를 거처 바바꿔야 겠다.)(구체적이지 않은 니즈를 구체적으로 변화 시키는 것이 비지니스 기회를 만들어내는 과정이라 생각이든다)
이 영역에 대한 나의 생각은 GMP, 공동체주의(협동조합, 제니퍼소프트 등), 쏘셜 자기 조직화라는 키워드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사람들이 무엇을 원하는가>가 아니라 <무엇을 하고 있는 하고 있는가>이고, <기술과 시장>이 아니라 <사람, 사회>이다. (사회, 인간, 인문학, 예술 전반에 걸친 탐구와 통찰, 공감이 같이 수반되어 장기적 탐구의 관점에서 바라 보아야 한다.)

2. 비즈니스 설계자

비즈니스 설계자의 시선은 사업모델 응용과 사업모델 설계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비즈니스 설계자로써의 기획자는 기존에 존재하는 비즈니스 모델을 변형, 개선 하거나 다른 영역에 적용해 봄으로써 비즈니스 기회를 만들어 내거나 비즈니스 아이디어를 실제 실행 가능한 사업 모델로 만들어 내는데 중점을 두어야 한다.

사업 모델의 응용은 기존에 존재하는 비즈니스 모델에 대해  ‘다른나라(시장)에 적용’, ‘성공모델에 다른 상품 적용하기’, ‘성공 모델에 다른 타깃 유저 적용하기’, ‘기존 비즈니스 단점 개선하기(솔루션, 사용성, 수익모델… 등)’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비즈니스 기회를 찾아 낼 수 있을 것이다. 성공한 사업 모델과 시장에 대한 심도 있는 검토 후 다른 경쟁력을 갖춘 형태로 만드는  작업이며, 성공 케이스가 존재 하기 때문에 비교적 쉽게 시장에 받아 들여지고 성공가능성도 높은 장점이 있다. 하지만 비슷한 서비스가 곧 등장하여 경쟁이 심화될 확률이 높기 때문에 그에 대한 대비를 해야 한다.

사업 모델 설계는 사업 개시 직전에 이루어 지며 서비스 구현 가능성에 대해서 종합적으로 검증하는 단계이며, 다른 가능성에 대한 탐구도 동시에 이루어져야 한다. 지금까지의 과정 중 최초의 협업이 일어나는 단계이다. 이전 단계까지는 기획자의 인사이트와 다양한 소스에 접근하고 적절히 처리 할 수 있는 역량 같이 정성적 요소가 크게 작용 했지만, 이 단계 부터는 협업을 위한 정량적 요소를 중요하게 다루어야 한다. 서비스 제공 환경, 소비자 니즈에 대한 가설, 비용, 리스크, 경쟁우위, 수익원 등에 대한 종합적인 검증을 다루게 된다.
(추가)사업 모델 설계와 타당성 검토에 있어서 경재성에 대한 검토와 아이디어를 실제 사업 모델로 도출해 내는데 있어서 적극적으로 공개하고 자료를 모으는 과정이 필요하다.

또한 가설에 오류가 없더라도 다양한 변형과 발전 가능성을 검토해 보며 응용 사업 모델을 도출해 내야 한다고 생각 된다. 더 경쟁력있는 사업 모델을 만들어 내기 위해 또는 비즈니스의 발전 가능성을 넓히기 위해 필요한 과정이라고 생각된다.
비즈니스 설계자로의 초점은 시장, 산업 생태계에 맞춰져야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비즈니스 기회를 만들어 내는 점에서 창조자와 설계자는 공통점을 갖고 있지만 어디서 무엇을 어떻게 발견하는가에 대해 근본적인 차이가 존재 한다. 기획자의 업무 대부분이 2번과 3번에 맞춰져 있기 때문에 일부에 매몰되어 1번을 놓치지 않기 위해 정확히 인식하고 있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3. product manager

product manager의 업무는 비교적 명확하고, 사고의 영역 보다는 실행과 기술의 영역에 가깝게 보여진다. 지난 2개월간 NoRa를 기획하면서 배웠던 대부분은 product manager의 범주에 들어 간다고 보여 진다.(NoRa기획 과정에서 최초로 진행했던 핵심가치 구체화 작업은 비즈니스 모델 설계 과정에 포함된다고 생각된다.) product manager의 영역또한 2가지로 나뉘어 진다고 생각한다. 서비스 설계와 개발 매니지먼트 이다.

서비스 설계는 핵심가치를 만족 시켜주는 기능을 확실히 하고 어떻게 만들것인가에 대한 과정이다.

개발 매니지먼트는 제품을 실제 만들어 가는데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고 이끌어 가는데 있다고 생각된다.
(해당 역량에 관해서는 차후 실제 개발 과정을 거친 후에 다시 한번 정리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 된다.)

맺으며

위의 내용을 기반으로 세부사항을 채워 나가면서 역량을 키워가고자 한다. 3>2>1의 순서로 필수적인 역량이기에 단계별로 역량을 밟아 나가는 동시에 1<2<3의 순서로 파급력이 강하므로 항상 같이 인식하고 있고자 한다. 목표가 확정된 상황에서는 3,2만 필요하지만 start up을 하고 사업을 지속적으로 확장(외형이 아니라 내실과 다양성에서)하는 상황에서는 1,2가 필수 적이기 때문이다.

실제 개발을 통해 product manager의 역량을 강화,  시장 흐름 파악과 비지니스 모델 구체화, 그리고 ‘문화’의 카테고리에서 세가지를 놓치지 않고자 한다.

나의 목표를 한마디로 표현하자면 개발자와 동등한 개발 역량, 디자인 역량을 가진 기획자(1,2,3을 포함하는)가 되겠다.

책리스트)UI, UX, 디자인

11 Dec

UX일반

사용자 경험에 미쳐라!

멀티미디어 교과서

정신병원에서 뛰쳐나온 디자인

더 나은 사용자경험을 위한 인터랙션 디자인

디자인과 인간심리

생각있는 디자인

이모셔널 디자인

보이지 않는 컴퓨터

미래 세상의 디자인

HCI 개론

경험디자인의 요소

검색 2.0 발견과 진화

실전 UX 디자인

소프트웨어 누가 개떡같이 만든거야?

미디어 2.0 새로운 공간과 시간의 가능성

멘탈모델

만화의 이해

만화의 미래

만화의 창작

심리를 꿰뚫는 UX 디자인

사용자 경험 스케치

단순함의 법칙

리치 인터페이스 디자인

Designing interface

컨텍스트를 생각하는 디자인

UX Design COMMUNICATION

hummne interface 인간중심 인터페이스

The User Is Always Right

UX 디자인 프로젝트 가이드

Designing for the Digital Age

사용자 경험 스케치

 

 

Design일반

슈퍼노멀

디자인의 디자인

디자인의 꼼수

유쾌한 이노베이션

디자이너 생각위를 걷다

디자이너 함께하며 걷다

디자인하지 않는 디자이너

디자인의 개념과 원리

재미있는 디자인 여행

그래픽 디자인의 역사

영혼을 잃지 않는 디자이너 되기

디자인의 꼴

시시한 것들의 아름다움

디자인 불변의 법칙 100가지

공공디자인 교과서

디자이너를위한 리서치 메뉴얼

타이포그래피

그리드 디자인

디자인 기하학

그리드를 넘어서

타이포그래피 교과서

한글 한글디자인 디자이너

제로

좋은 디자인을 만드는 33가지 서체 이야기

타이포그래픽 디자인

통계 / 실험설계

천재들의 주사위

사회과학조사방법론 3판

사용자 경험 측정

사용성 테스트 가이드북

 

Digital Device

IPTV

Mobile User Interface

IPTV 뉴 비지니스 혁명

쓰리스크린과 소셜티비

관계디자인

 

정보디자인

정보디자인 교과서

제품디자인

제품디자인이란 무엇인가?

책리스트)마케팅

11 Dec

마케팅

21C전략적 마케팅기획

보스턴컨설팅그룹의 B2B마케팅

영업, 근성이 아니라 기획이다

문화예술마케팅

성공적인 마케팅 PR전략

PR의 언론관계 효과측정

마케팅 조사론, 고객만족조사법
커뮤니케이션(출판사 ‘커뮤니케이션북스’에서 나온 책 대부분이 읽을 만함)

 

브랜드

브랜드가 모든 것을 결정한다

시티즌 브랜드

북리스트)창의성, 사고, 인지, 집단

11 Dec

창의성

생각의 완성

그룹 지니어스

인지

생각에 관한 생각

인지론(리뷰 : http://iamdevivre.tistory.com/468?_top_tistory=new_title)

북리스트)인문학

11 Dec

기업 문화

밀리버리 해피니스

사회학

막스베버(책 찾아 보기)

칼 마르크스(책 찾아 보기)

총균쇠

북리스트)기획

11 Dec

전략 & 기획

블루오션전략

차별화된 전략수립을 위한 전략기획 에센스

100억짜리 사업계획서

100억짜리 기획력

E-고객시대의 웹경영

모든 비즈니스는 로컬이다.

 

 

시장 파악

헝그리 플래닛(이 책에는 말도 안통하는 사람들을 섭외하는 과정, 그들과 다큐를 진행하며 생겼던 문제점 그리고 이를 해결했던 방법들 등 사람들로부터 가치있는 뭔가를 끌어내기 위해 어떻게 조사하고 진행해야 하는지를 정말 재미있게 잘 설명하고 있다는 점이 최고의 장점)

 소비자 행동론

정보학 (자료조직론, 참고정보봉사론, 목록의 이해, 정보자료의 분류 등 주로 문헌정보학과의 교재)

 

프로젝트 매니지 먼트 

BSC, BPM, PI, ERP (업무 프로세스 이해를 위한 공부)

개발과정

프로토타이핑

거침없이 배우는 익스프레션 블랜드(프로토타이핑을 도와주는 강력한 툴인 익스프레션 블랜드에 대한 소개를 다루고 있습니다)

 

팀웍

퍼실리테이터(소통을 고민하는 이 시대 리더들을 위한 실전스킬)

작문 & 발표

움베르토 에코의 논문 잘 쓰는 법

프리젠테이션 젠

한국의 이공계는 글쓰기가 두렵다 | 임재춘 지음 |북코리아

핵심가치 셋-기능, 디자인, 브랜드

29 Nov

앞의 포스트는 기능적 핵심가치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사유 한 듯싶다.

문득 깨달았는데 핵심가치를 논의 할 만한 대상은 두가지가 더 있다고 생각된다. 다해서 세가지

1. 기능적 핵심가치

2. 디자인적 핵심가치

3. 브랜드적 핵심가치

디자인적 핵심가치와 브랜드적 핵심가치는 무엇을 말하는 것인지 궁금하다.

여기서 ux와 indentity에 대해서도 어느정도 단서를 찾게 됬는데

기능적 핵심가치와 디자인적 핵심 가치를 합치면 ux.

디자인적 핵심가치와 브랜드적 핵심가치를 합치면 indentity가 되는 것이라 생각된다.

디자인적 핵심가치와 브랜드적 핵심 가치는 무엇인가? 다음 질문은 이것